국민연금의 기본 노령연금이란?
국민연금의 기초가 되는 노령연금은, 소득활동을 할 수 없는 나이에 이르렀을 때 지급받을 수 있는 연금입니다.
1)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인 자
2) 지급 개시 연령에 도달한 자
그 기준의 첫 번째는 가입기간(국민연금에 세금을 낸 기간이 10년 이상)이며, 두 번째는 지급 개시 연령(지급받을 수 있는 나이에 도달)입니다.
지급 개시 연령은 출생한 년도에 따라 다릅니다.
[ 표 1 ] _ 국민연금(노령연금) 지급개시 연령 안내
출생연도 | 노령연금 _ 지급개시 연령 |
1953 ~ 56년생 | 61세 |
1957 ~ 60년생 | 62세 |
1961 ~ 64년생 | 63세 |
1965 ~ 68년생 | 64세 |
1969년생 이후 | 65세 |
국민연금 예상액 조회
아래의 방법만 따라 해 주시면 본인의 노령연금(국민연금) 예상액을 알아보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1) 국민연금 사이트에 들어갑니다.
포털사이트에 "국민연금공단"이라고 검색해서 들어가도 되고, 바로 아래 제가 첨부해 드린 링크를 눌러서 들어가셔도 됩니다.
국민연금공단
현재 접속 사용자가 많아 대기중이며, 잠시만 기다리시면 자동 접속됩니다.
www.nps.or.kr
그 이후부터는 아래 첨부해 드린 이미지를 보고 따라 해주시면 됩니다. 누르실 때마다 아래 보이는 식으로 화면에 나타날 테니 쉽게 따라 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2)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내 연금 알아보기"를 클릭해 주십시오.

3) "예상연금액 조회"를 클릭해 주십시오.

4)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알아보기"를 눌러주십시오.
오른쪽에 있는 "국민·개인·퇴직·주택연금 모두 알아보기"는 조금 더 상세한 연금액을 알아볼 수 있는 화면이지만, 영업일 기준으로 최소 3일 정도의 대기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간단하게 알아보려고 하시는 분이시라면, 왼쪽 항목을 클릭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5) "간편 인증 로그인"을 클릭해 주십시오.

6) "카카오톡"을 눌러주시고, 입력란을 채운 후 인증요청을 해주시면 완료입니다.
저의 경우에는 자주 사용하는 카카오톡을 사용하여 인증하였지만 다른 인증서를 활용하여도 무방합니다.

완료하게 되면 바로 아래에 보이는 이미지와 같이, 국민연금(노령연금)의 예상연금액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예상연금액뿐만 아니라, 지급이 시작되는 날짜, 총 납부해야 하는 월 수, 예상납부보험료 총액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국민연금(노령연금) 납부액 확인 방법
국민연금의 납부내역을 확인하는 방법은, 위의 예상액 조회 방법과 동일합니다.
다만, 아래 이미지(좌)에 보이는 화면에서 파란색 테두리를 클릭해 주시면 되십니다.


클릭한 이후에 예상액 조회와 동일하게 정보 입력해서 인증하시면 본인이 납부한 연금보험료부터 연금보험료 상세내역까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직장인의 경우, 이직하면서 현재까지 납부하였던 모든 내역이 나오니 지금까지 얼마의 국민연금 보험료를 내고 있었는지 한눈에 확인이 가능합니다.
여기까지 국민연금의 수령나이, 수령예상액 조회 방법, 가입내역 및 납부내역 조회 방법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본인의 국민연금 관련 정보를 모두가 편하게 찾아볼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국민연금 개혁안 이슈 / 연금 조기수령 80만 육박"

'경제 및 이슈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럴링크(Neurallink) 임상실험 : 일론머스크의 뇌 임플란트 사업, 뉴럴링크 기대효과 (1) | 2023.09.20 |
---|---|
[챗GPT기반] ASKUP(아숙업) 사용법 활용가이드 _ 카톡으로 대화하는 생성형 AI (0) | 2023.09.17 |
하이퍼클로바X 와 챗GPT 차이점 _ 한국형 생성형AI 하이퍼클로바에 대해(기능, 차이점) 네이버GPT (0) | 2023.09.12 |
국민연금 개혁안 보험료율 인상 / 국민연금 조기수령 80만 육박 (4) | 2023.09.07 |
청약통장 조건 완화 이슈_부부 합산, 청약기회 1회에서 2회로! (20) | 2023.08.31 |